[2025년 1차] 출판마케터
교육 소개
책은 상품으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공공재로서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상품과 공공재 두가지 특성을 충분히 알아야 합니다. 또한 책은 콘텐츠산업의 중심으로 타산업에 응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출판마케터는 독자,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예민한 감각과 부지런함이 요구되며 출판사 내부는 물론 외부와의 소통이 많은 업으로 커뮤니케이션능력, 원가개념과 손익에 대한 빠른 생각과 판단을 요구함으로 수리, 수치적 사고능력을 필요로 하기에 서울출판예비학교의 출판마케터과정은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해쳐나가기 위하여 웹마케팅을 강화하고, 현장의 실무자들과 연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새로운 도서 거래처 발굴을 포함한 출판 유통 관리 능력 강화하여 홍보 마케팅 능력강화를 통한 독자 커뮤니티 구축 및 운영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교육 내용
1. 출판소양
– 출판문화산업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높인다.
– 출판, 출판사, 베스트세러 역사를 통해 책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출판인으로서 올바른 직업의식을 배우고 필요한 기본 지식과 소양을 습득한다.
– 전체 출판과정에 대한 작업 흐름을 파악한다.
– 각각의 출판 과정에 대한 업무 이해도를 높인다.
– 편집과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다.
–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출판에 대해 폭넓게 이해한다.
– 직장 예절과 성공적인 직장 생활 방법을 배운다.
2. 출판 분야별 트렌드 이해
– 분야별 전문가(출판사 대표 등)를 초청, 10개 분야와 출판사 대한 이해를 높이고, 책의 권별 마케팅 사례를 풍부하게 학습한다.
3. 출판 실무
– 저작권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편집의 이해를 높인다.
– 출판디자인의 이해를 높인다.
– 과별 교육 내용 소개, 과별 교과 내용 정리
4. 출판 소양
– 출판 마케팅 선배와의 만남으 통해 출판 영업의 역사, 출판 마케터의 자세, 출판 마케터의 비전 등에 대해 배운다.
5. 마케팅 개론
– 마케팅의 역사
–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 출판 마케팅의 이해. (기획부터 출간 후 평가까지 이론및 실전사례 습득)
– 시장분석, 컨셉잡기, 제목잡기, 표지구성, 가격 전략, 광고, 이벤트, 판매 기획 등 이해
6. 마케팅실습
– 원고의 발굴부터 출간 후 평가까지 실제 연습을 해본다.
– 되도록 미 출간 원고를 이용해 해당 출판사와 함께 가상의 훈련을 한다.
– 원고의 발굴과 분석, 상품 개발(컨셉잡기, 표지의 구성, 편집의 일관성 유지 등), 원가분석과 가격정하기, 판매 기획, 프로모션 등을 실제로 해본다.
– 마케팅 기획서 작성 연습, 프로모션 실제 연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