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차] 출판편집자
교육 소개
책의 출간은 공공성의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책을 만드는 편집자는 공공의식이 뛰어나야 합니다.
출판편집은 지적 재산권을 다루는 직종이므로 저작권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또한 책은 사유의 결과물이므로 편집업무는 고도의 지적 업무라고 할 수 있으며, 편집자는 전문가의 원고를 다루는 일이므로, 깊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편집업무는 출판과 관련된 수많은 관계망 속에서 조율을 하는 업무이므로,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능력 또한 필요로 합니다.
그러기에 서울출판예비학교의 출판편집자 과정은 이와 같은 편집자에게 필요한 능력을 키우기 위해 현장과 밀접한 이론과 실전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진행합니다.
교육 내용
① 출판개론 및 실무이론
– 출판기본개념 및 편집자의 실무적 이론
② 출판소양
– 출판매체의 이해: 매체로서의 책, 책의 역사 등
– 출판 프로세스의 기초: 출판인이 알아야 할 출판편집, 출판마케팅, 출판디자인의 기초
– 출판역사: 한국출판약사, 한국을 만든 책, 전작주의 출판 등
– 출판이슈와 트렌드: 베스트셀러로 본 출판 이슈와 분야별 트렌드 분석
– 베스트셀러 저자 특강
– 출판특강
– 교육발표회
③ 어문규범
– 한글맞춤법의 이해와 표준어규정의 이해
– 문장쓰기와 교정
– 맞춤법 실습
④ 출판제작
– 출판제작 과정의 이해
– 종이의 이해
– 인쇄와 제책의 이해
⑤ 출판 분야 분석
– 출판의 각 분야를 총론, 인문철학, 역사, 어린이문학, 경제 경영 실용서, 만화, 번역, 예술, 전자책 등으로 분류하여 각 분야의 특성을 검토하고, 원고기획서 작성, 원고교정교열, 보도자료를 작성한다.
⑥ 출판디자인
– 출판과 북디자인
– 편집 프로그램인 쿽과 인디자인 등 편집 레이아웃 등을 연구
– 출판을 위한 표지, 본문, 타이포그라피 등의 디자인에 대한 학습
⑦ 출판마케팅
-서점의 이해
-온라인 마케팅의 이해
-출판시장의 이해
⑧ 출판실무
– 조별 편집 실무 워크숍, 실제 원고를 책으로 만들어 인쇄 및 제본까지 전 과정을 수행
– 분야별 교정교열 연습: 분야별 원고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원고로 교정교열 연습을 수행
– 교육자료집 편집: 개인별 원고 집필, 소제목 등 카피 뽑기, 이미지 원고 선정 및 배치 등 실제 편집
⑨ 출판심화
– 출판기획 워크숍